■ 과연 우리나라는 지진에서 완전히 안전한 국가일까?





 

2010년 1월 12일, 중앙아메리카에 위치한 아이티에서 규모 7.0의 강진이 발생했다. 그리고 규모 5~6 정도의 강한 여진이 최소 13차례 이어졌다.



이번 강진은 아이티의 수도인 포르토프랭스에서 불과 10마일 가량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발생하였고 무려 아이티 인구의 3분의 1에 달하는 300만 명에게 직․간접적 피해를 입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1770년 이후 아이티에서 발생한 240년 만의 큰 지진이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번 아이티의 지진은 최근 수십 년 혹은 수백 년간 지진이 일어나지 않았던 나라일지라도 결코 지진의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이번 지진이 이렇게 피해가 컸던 이유 중 가장 중요한 하나는 GDP가 세계 130위이며 1인당 GDP는 150위인, 지진에 대한 대비가 미흡한 나라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반면 지진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인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는 이와 다르다. 아이티와 비슷한 강도 7.2의 지진이 2008년 이와테 현에서 발생했지만 13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일본의 경우 지진이 일어났을 때 관측, 분석하는 연구 인원이 수천 명에 달하여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한다.

이같은 연구 활동이 점차 발달하여 2007년 3월에는 최초로 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그것을 예측하여 피해를 크게 줄이기도 했다.



또한 건축물을 설계할 때도 내진설계는 물론이고 지면과 건물 사이에 감쇄 장치를 설치하여 지진시의 진동이 건물에 직접 충격을 주는 것을 막는 면진설계를 적용한다.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나라답게 대비도 철저히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아직 이렇다 할 지진 피해가 보고되고 있지 않아 지진에서 안전한 국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작년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은 총 60회로 그 전 10년간의 평균인 41회와 비교하면 확연히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양대 지진연구소에서는 앞으로 15년 내에 수도권 지역에 규모 6.0~6.5 정도의 강진이 발생할 확률이 57%정도라는 보고서도 발표한 적이 있다.



다행히 현재 우리나라의 내진설계 등, 지진 대비 기준은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서 진도 6.0의 지진이 와도 문제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1988년 이전에 지어진 건물은 대부분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다. 만약 강진이 발생한다면 큰 피해가 예상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또한 2005년에는 건설교통부, 전국 지하철건설본부 등에서 전국 건물의 97.8%, 지하철 및 전철의 98% 정도가 내진 설계가 되어있지 않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



최근에도 소방방재청에서 지진 대응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는데 서울에 규모 7.0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약 67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전국의 건물 664만 동 가운데 92만 동이 피해를 입는다는 발표가 있었다.



그러므로 더 이상 지진과 관련된 철저한 대비를 미루지 말아야 한다. 건물을 짓는 기업에서는 내진 설계를 비롯한 지진 대비 기준을 성실히 이행하고 정부는 기업들에 대한 감시와 규제를 철저히 하며 관련 법규도 강화하고 이미 지어진 건물에 대해서도 검사를 꼼꼼히 해야 한다.



사망자가 발생하고 건물이 무너지고 재산을 잃는 그러한 재앙을 겪은 후에 후회하며 뒤늦게 복구작업을 해도 건물이나 경제적 손실은 다시 복구할 수 있다.



하지만 가족을 잃은 유족들의 슬픔과 실추된 국가의 이미지까지 온전히 복구할 수는 없다. 치료보다는 예방이 우선이라는 말이 있다. 지금은 지진 피해 예방에 힘을 쏟아야 할 때다.

 

최진효  여수한영고등학교 2학년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