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란 있는 곳에 시장이 직접 나서야 명분이라는 것이 쌓인다.



우리 지역에도 민선지방자치가 부활된 지 17년이 지났다.
그러나 그 부활의 정신은 아직 우리지역에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지방자치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참여는 봉쇄되거나 형식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지방자치는 아직 "강한 단체장 - 약한 의회" 라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이 "견제 받지 않는 권력" 으로서 지역에서 군림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재정권, 인사권의 전횡을 누리면서 가히 '제왕적' 이라 불릴 정도로 막강한 권한을 누리고 있는 현재의 구조 하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을 견제할 수 있는 장치는 극히 미약한 것도 사실이다. 결국 이것은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만이 지방자치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시 행정의 투명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시에서 지금 무슨 일을 추진하고 있는지에 대해 시민들 다수가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토끼 한 마리 지나다니지 않을 것 같지 않은 웅천 생태터널에 수십억의 돈을 쏟아 붓는 것도 그렇고, 여수에 널려있는 해수욕장을 놔두고, 웅천에 또 다시 인공해수욕장을 건설하겠다는 것도 그렇다. 시민들은 시작한 것도 모른다.

세계박람회 문제만 해도 그렇다.
지금 시민들은 "세계박람회를 하기는 하는 건가?" 하는 의구심을 갖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시민들은 알 길이 없다. 그러다 보니 민심만 흉흉해 진다.

세계박람회 부지인 덕충동 일대의 보상 문제도 이순신광장의 전철을 밟게 되지나 않을까 염려하는 시민들이 많다.
주민들은 당연히 많은 보상을 원할 것이고, 정부에서 보상해주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여수시가 엑스포 타운 주민 2,858명을 대상으로 최근 설문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6%가 아파트 입주를 선호했고, 이주 정착금을 원하는 주민이 30%, 택지 공급은 24%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주민들을 만나보면 문제 해결이 그리 녹녹치 않을 것임을 느낀다.
이주 당사자들조차도 지금 뭐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이 드물다. 자신들의 미래에 대해 불안해 하는 것이다. 불만이 쌓일 수밖에 없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자꾸만 박람회 예산을 줄이려는 신호들이 여기저기서 감지되고 있다. 그러한 어려움을 이겨내는 방법은 시민들의 단합된 모습이다.
그런데 이것이 그리 쉽지 않아 보인다. 시 관계자들은 지금의 상태를 전시로 비유한다. 맞다. 분명 전시다.
그러나 전시면 전시답게 사령관이 전면에 나서야 한다. 일이 더 확대되기 전에 분란이 시작되는 곳을 직접 찾아 주민들을 설득하고 또 설득해야 한다. 앞으로 진행될 모든 사업도 마찬가지다.
그렇게 최선을 다하는 모습 속에서 명분이라는 것이 생겨나는 법이다. 이 과정이 생략되면 극한의 대립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호미로 막을 수 있을 때 호미로 막아야 한다.

이제 시민들도 시에서 하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른바 주민참여다.
시민들은 우리지역의 공기를 마시고, 지역에 있는 학교에 아이들을 보내고, 지역에 있는 문화시설과 복지시설을 이용한다. 따라서 지방자치를 바로세우는 것은 시민들이 시 행정에 예리한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길 뿐이다.

협조할 것은 협조하고, 비난할 것은 비난하면서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여수시도 앞으로 추진할 사안에 대해 시민들에게 사전에 충분히 알리고, 호소하는 과정에 좀 더 세심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시민이 주인이기 때문이다.



본지 발행인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