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캠퍼스 정상화 촉구
통합 무효화 투쟁 불사

전라남도의회가 전남대와 통합한 전남대 여수캠퍼스(옛 여수대)에 대한 활성화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남도의회는 최근 이광일(여수1) 의원이 대표 발의한 ‘전남대 여수캠퍼스 정상화 촉구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이 건의문을 청와대와 교육부 등에 보내기로 했다.

도의회는 건의문에서 “당시 여수대는 정부의 국립대 경쟁력 제고 방안의 하나로 전남대와 통합을 통해 지역발전의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는 명문대로 거듭날 것이라는 기대로 출발했다”며 “그러나 8년이 지난 현재 모습은 그대로”라고 주장했다.

도의회는 “통합 당시 양 대학이 체결한 12개 조항의 ‘통합양해각서’ 내용 중 여수대를 전남대 여수캠퍼스로 한다는 조항 정도만 이행됐고 한의대 설립 등 대부분 조항은 이행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도의회는 통합양해각서 내용대로 한방병원을 포함한 한의대를 설립해 국동캠퍼스를 활성화하고, 교직원의 인사 불이익, 비정규직의 근무환경 개선 등 전체적으로 침체된 여수캠퍼스 운영을 정상화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동안 지역사회에서는 여수 캠퍼스가 상대적으로 소외된 채 당초 통합의 취지를 전혀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여수 국동캠퍼스는 통합 전 여수대의 본교로 통합 이후 둔덕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현재 평생교육원과 총동문회사무실, 아트센터, 체육관 등으로 일부만 활용되고 있고 거의 방치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인근 주민들은 통합 이후 국동지역 상권 위축과 수년 동안 방치되면서 지역 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학교 측에 활용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지만 학교 측은 예산이 없다거나 교과부 소관이라 어쩔 수 없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되풀이하고 있어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지난달 20일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청소용역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광주캠퍼스 청소용역 노동자들과 견줘 불평등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개선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이날 여수캠퍼스 청소용역 비정규직 청소노동자 40여명은 “대학본부와 용역업체의 부당한 업무지시와 해고 협박에 말도 못하고 지내왔다”며 “퇴직금도 거의 없이 일 해왔다”고 주장했다. 특히 “똑같은 일을 하면서 광주캠퍼스 노동자들에 비해 심한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는 생각에 상대적인 박탈감에 빠졌다”며 “광주는 여수보다 30% 많은 임금에 유급 하계휴가와 연차 휴가수당도 있고 대체근무자까지 있지만 여수는 전혀 다르다”고 주장했다. 청소노동자들은 청소일로 땀이 범벅이 되도 여성노동자들은 씻을 샤워실도 없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실제 130만원 정도를 받고 있는 광주캠퍼스 근로자에 비해, 여수캠퍼스 근로자들은 월 100만원 수준의 기본급을 받고 있다.

학생과 교직원수의 변화에서도 여수캠퍼스의 소외현상은 두드러진다.

통합 전보다 학생 수가 증가한 광주캠퍼스에 비해, 여수캠퍼스의 학생 수는 줄어들었고, 특히 교직원 수는 양 캠퍼스간의 차이가 더 벌어진 상태다.

2005년 광주캠퍼스의 학생 수는 2만9298명, 여수캠퍼스는 5626명이었다. 하지만 2013년 광주캠퍼스의 학생 수는 3만0184명으로 886명이 증가한 반면 여수캠퍼스는 5595명으로 31명이 감소했다.

교수의 경우 2005년 광주캠퍼스는 918명, 여수캠퍼스는 182명이었다. 하지만 2013년 광주캠퍼스는 1174명으로 27.9% 증가한 반면 여수캠퍼스는 166명으로 8.8% 감소했다.

직원의 감소폭은 더 크다. 2005년 광주캠퍼스의 교직원은 396명, 여수캠퍼스는 179명이었다. 하지만 2013년 광주캠퍼스는 427명으로 7.9% 증가한 반면 여수캠퍼스는 139명으로 22.4% 감소했다.

이렇듯 지역사회가 국동캠퍼스 활성화 방안과 처우 개선 방안을 요구하기 전에 먼저 고민해야 하는 전남대가 여전히 무성의한 태도만을 고집하고 있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 3월 여수산단 대림산업 폭발사고 이후 여수지역에 화상·산재전문병원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국동캠퍼스를 활용하는 방안이 강구됐지만 전남대측이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면서 산재병원 추진은 사실상 물 건너 간 상태다.

병원 설립에 드는 예산 450억을 여수시나 지역 국회의원이 확보해 주면 전남대는 운영만 하겠다는 방관자적인 입장이다. 지역사회는 이에 대해서도 못마땅하게 여기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유치되든 안 되든 어느 누구보다 학교 활성화를 위해 중심에 서서 유치 노력을 해야 할 전남대가 전혀 그런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광일 전남도의원은 “두 대학 통합은 최초 국립대 통합 사례인 만큼 통합 시 체결한 각서 내용이 반드시 실천돼야 한다”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범시민 차원의 대학 통합 무효화 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경쟁력 강화로 지역발전을 선도하겠다던 허울 좋은 명분은 이제 설득력을 잃은 지 오래다.

전남대가 수년째 국동캠퍼스에 대한 활용 계획을 제시하지 않으면서 통합을 괜히 했다는 통합 무용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