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윤숙 안방경제연구소장

▲ 송윤숙 안방경제연구소장.
최근 글로벌경제의 최고이슈는 단연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은행(Federa Reserve Banks)이사회인 연방준비위원회(Fed)의 양적완화 축소 발표이다.

양적완화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귀에 익을 정도로 자주 들어온 말이지만 일반인들은 어렵게 느껴지는 전문용어이다.

그러나 일반국민들이 자신의 생활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생각되는 양적완화 축소는 앞으로의 경제 흐름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어 한번쯤 짚고 넘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 量的緩和)란 ‘돈을 찍어서 푼다’는 의미로 중앙은행이 민간은행들이 보유한 국채와 채권 등의 자산을 사들임으로써 시장에 돈을 푸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 정부와 중앙은행은 경기부양책을 쓰는데 흔히 중앙은행은 금리인하의 통화정책을 사용한다. 금리를 내려 이자가 싸지면 기업은 돈을 빌려 투자하게 되며 개인은 소비를 하게 된다. 그러면 투자와 소비의 촉진으로 선순환의 경제 활성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금리를 제로 수준까지 내려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 불가피하게 인위적으로 돈을 푸는 양적완화를 시행하게 된다. 그래서 미국은 2008년 대형 금융기관이 파산하는 등 금융위기를 맞게 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금리를 최저 수준으로 인하했다.

그럼에도 효과가 없자 2009년부터 지금까지 3차에 걸쳐 3조 달러(3160조원)가 넘는 돈을 시장에 풀어내는 양적완화를 해 왔다. 이 엄청난 돈의 일부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들의 주식과 채권 값을 올리고, 원자재 등에 투자되었다.

이로 인해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으로 부채가 많은 기업과 개인은 이자 부담이 줄어들었으며 위기를 모면할 수 있게 되었다. 미국의 경우, 양적완화 정책은 경기가 개선되고, 실업률의 하락과 가계부채의 감소, 그리고 상당부분 금융부실을 털어내는 등의 효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미국은 지난 12월 19일 양적완화축소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앞으로 미국 연방은행은 단계적으로 푸는 돈을 축소하여 양적완화를 종료하고, 상당기간동안 제로수준의 금리를 유지한 후 점진적으로 금리를 높이는 수순을 밞겠다고 한다.

이것은 저금리 시대는 끝나고 중장기적으로 금리가 상승한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되면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라 우리도 금리인상이 불가피하게 된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보다 2~2.5% 가량 높은 수준을 유지해야 투자된 돈이 빠져나가지 않고 금융시장이 안정될것이기 때문이다.

삼성경제연구소도 “미국 양적완화 축소는 국내 금리 상승을 초래해 가계와 기업의 이자상환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정부는 양적완화 축소가 미국 경기회복을 전제로 하므로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불확실성이 제거되어 경제 운용에 대한 부담이 줄게 되어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했다.

분명한 것은 앞으로 금리상승의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며 이렇게 되면 시중에 유동성이 감소하게 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시중의 돈이 줄어들면 채권, 주식, 부동산 시장 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반면 저축을 한 입장에서는 이자수입이 늘어나게 되고 반면 대출을 받은 경우에는 이자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과 개인들은 빚을 줄여서 이자부담을 최소화시키는 게 중요하고 대출을 받는 경우 금리상승이 시작되기 전에 고정금리로 약정할 것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