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 인구 유출 심각…통합적인 청년정책 절실

유아·여성·노인 등을 위한 정책은 많지만 청년을 위한 정책은 사실상 없어
청년들이 아프다. 너무 아파서 소리조차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있다. 삼포세대(연애·결혼·출산을 포기)도 모자라 오포세대(삼포에 인간관계와 내 집 마련을 추가)로 대변되고 있는 우리 시대의 청년들. 이들의 절규는 미래에 대한 절망이자 우리 사회에 보내는 절망의 신호다.

청년들의 절규는 국가는 물론 지역의 미래와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부가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청년들의 체감도는 낮기만 하다. 이제는 국가 차원의 대책은 물론 지자체 차원의 청년정책에 대한 중장기적인 종합계획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실 청년문제에 따른 심각성은 국가 못지않게 지역의 걱정도 크다. 전국적인 현상으로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나가야 할 젊은이들이 지역을 떠나 수도권이나 대도시로 쏠리고 있다. 결국 젊은 층 인구가 감소하면 인구 고령화로 이어지면서 지역의 역동성과 성장 잠재력이 약화돼 지역 경제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이는 지역 경제뿐만 아니라 지역의 모든 역량을 쇠퇴시킨다.

특히 여수시는 빠져 나가는 인구의 50%를 20~30대 젊은 층이 차지할 정도로 젊은 층 인구 유출이 심각하다. 그러나 유아, 여성, 노인 등을 위한 정책은 많지만 청년을 위한 정책은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청년의 고통은 개인의 고통으로 끝날 일이 아니다. 본인은 물론 가정의 고통이자 지역사회의 고통이다. 그러나 이들의 ‘끼’를 북돋운다면 여수의 또 다른 기회일 수도 있다. 여수의 미래는 청년들의 꿈속에 있으며, 그들의 활력이 도시 브랜드이자 정책의 척도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동부매일>의 시각이다.

이에 <동부매일>은 ‘청년이 살아야 여수가 산다’라는 주제로 청년 일자리 등 여수시의 청년정책을 점검하고, 이 시대 우리 지역에서 살아가는 청년들을 만나 그들과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본다. 편집자 주

▲ 여수시청 홈페이지 캡쳐.

빠져 나가는 인구 50%는 20~30대 젊은층…지역 고교·대학 질적 경쟁력 강화 절실
여수시의 인구 감소의 심각성은 어제오늘만의 문제가 아니다. 여수시의 인구는 1998년 32만9409명에서 2010년 29만3488명, 2013년 29만1366명, 지난해 29만900명으로 해마다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수도권이나 대도시 등 그동안 여수지역을 빠져나간 인구 중 20~30대가 전체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여수 인구감소의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관련 기사 : 여수 10~20대 인구 유출 많아…젊은층 위한 시책 마련 절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여기서 ‘왜 여수를 떠나는가’라는 질문을 할 수 밖에 없다. 인구 감소 원인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수산업 쇠락, 교육·의료 경쟁력 부족, 문화 인프라 등 정주여건 미흡이 지목되고 있다. 실제 각종 설문조사와 통계 자료를 통해서도 원인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여수시의 청년층(만15~29세·통계청) 인구는 5만5032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청년의 나이’에 대한 기준은 법령마다 제각각이다. 청년 고용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현재 통계청은 만15~29세를 기준으로 청년 고용통계를 생산한다. 하지만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은 공공기관에서 정원의 3%를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하는 청년의 나이를 만19~34세로 정하고 있다.

사실상 취업이 가능하고 취업 연령대가 늦어지는 현실을 감안해 만19~34세로 하면 5만7827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여수시 인구의 6분의1이 젊은층 인구에 해당된다.

▲ 여수시청 홈페이지 캡쳐.

여수시가 2년 주기로 2013년에 실시한 ‘여수시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여수시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청년층을 위한 다양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령별 거주지 만족도를 보면 15~29세는 ‘살기 좋은 곳’ 70.4%, ‘그저 그런 곳’ 23.8%, ‘살기 나쁜 곳’ 5.9%로 나타났다. 30~39세는 ‘살기 좋은 곳’ 77.9%, ‘그저 그런 곳’ 15.8%, ‘살기 나쁜 곳’ 6.3%로 조사됐다.

3년 이내에 타 지역으로 이사할 계획이 있다면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직장 때문에’와 ‘자녀교육 때문에’라고 답했다. 일자리와 교육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특히 청년층에는 대학생이 빠질 수 없는데 지역 교육의 상황을 보면 청년 유출의 심각성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여수시는 2005년 고교평준화 이후 매년 수백명이 넘는 중3 성적 우수자들이 타 지역의 고교로 진학하고 있어 지역사회의 큰 고민거리다. 2011년 384명, 2012년 286명, 2013년 225명, 2014년 207명, 2015년 215명으로 집계됐다.

여수시가 막대한 교육경비보조금을 투입하고 있지만 기대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어 여수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책의 일환으로 민선 6기는 사립외고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물론 설립 이후의 논란도 배제할 수 없다. 외고 설립만으로 고질적인 여수 교육문제의 해결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비단 중3 학생 유출만의 문제가 아니다. 대학도 문제다. 여수지역에는 전남대 여수캠퍼스와 한영대가 있다.

▲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정문.

전남대 여캠, 여수 인구감소 주요인 ‘지역 고교생 타 지역 대학 진학’ 꼽아
2013년 관내 고교 졸업생 3,630명 중 전대 여캠 진학 71명에 불과

전남대 여수캠퍼스가 지난해 10월 자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12년간 광양만권(여수·순천·광양) 도시 중 순천시와 광양시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반면 여수시만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전남대는 여수시 인구 감소의 주요인을 여수지역 고교생의 타 지역 대학 진학을 꼽았다. 전남도교육청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여수관내 고교 졸업생 3,630명 중 2,581명이 대학(2·4년제)에 진학했는데 이 가운데 전남대 여수캠퍼스로 진학한 학생은 71명에 불과했다.

2·3년제 전문대학인 한영대 진학생 일부를 제외하더라도 2000여명이 넘는 학생들이 타 지역의 대학으로 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이유는 대학 수와 원하는 전공, 대학의 질적 경쟁력 부족 등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다.

문제는 이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여수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데 있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이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여수로 돌아오는 경우는 여러 현실을 감안한다면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도권이나 대도시에서 취업하고 결혼해서 아이 낳고 사는 경우가 많다. 우리 주위만 돌아봐도 그런 사례는 쉽게 찾을 수 있다.

전남대는 (고교 졸업생이 외지로 빠져나가다보니)경제활동을 하는 생산인구의 감소로 지역경제 침체는 물론 새로운 일자리의 창출에도 장애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대학 졸업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다른 도시로)이동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것이다.

▲ 전남대 여수캠퍼스에서 조사한 광양만권 도시 총인구 추이 및 실제생산인구.

하지만 이에 앞서 지역 고교생들이 국립이면서 지역대학인 전남대 여수캠퍼스에 진학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학교 측이 풀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대학의 수준과 미래 경쟁력은 학생들이 더 잘 알고 있고, 출신대학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전남대 여수캠퍼스가 이를 얼마나 충족하는지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대학교 수에 따른 학생 수도 무시할 수 없다. 여수시와 목포시, 순천시에 소재한 대학과 학생 수를 보자.

여수시의회 전창곤 의원이 지난해 여수·순천·목포 소재 대학교와 학생 수를 파악한 자료(2014년 9월 기준)를 보면 목포시는 목포대 8,171명, 세한대 4,050명, 목포과학대 3,159명, 목포해양대 2,504명, 초당대 2,347명, 목포가톨릭대 560명 등 2만231명이 재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시는 순천대 7,705명, 청암대 3,026명, 순천제일대 2,566명 등 1만3297명인 반면 여수시는 전남대 여수캠퍼스 3,357명, 한영대 1,305명 등 4,662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만 비교해보면 목포가 여수보다 4.3배, 순천은 2.8배가 더 많다.

물론 대학생이 그 지역의 청년문화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위 ‘대학문화’는 그 도시의 청년문화를 이끌기도 하고 대학생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도시의 활력 요소가 되기도 한다.

청년정책이 대학생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훨씬 더 광범위하다. 청년정책은 일자리와 교육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청년정책은 섬세해야 한다. 서울(대도시)과 지방, 대졸과 고졸, 남성과 여성 등 다양한 계층이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일자리, 교육, 창업, 문화, 생활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프로그램이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합적인 청년정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