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2일 제주4.3평화공원. 제주 4.3사건의 진실규명을 통해 제주가 평화의 섬으로 어떻게 가고 있는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있었다. 이날 이념 갈등의 골이 깊게 패였던 희생자유족회와 제주경우회와 합동참배는 이 지역 군인, 경찰 수뇌부까지 참석해 제주4.3의 실존적 위치와 역할, 그리고 위상을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사진=김종호 기자)
▲지난해 8월 2일 제주4.3평화공원. 제주 4.3사건의 진실규명을 통해 제주가 평화의 섬으로 어떻게 가고 있는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있었다. 이날 이념 갈등의 골이 깊게 패였던 희생자유족회와 제주경우회와 합동참배는 이 지역 군인, 경찰 수뇌부까지 참석해 제주4.3의 실존적 위치와 역할, 그리고 위상을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사진=김종호 기자)

여순의 역사가치는 '상생과 화합, 인권과 평화'
여수시는 평화공원 유치를 내걸고 마치 공모사업 다루듯 하고 있다. 낮은 역사 인식과 정치적 이해득실로 여순 정신을 훼손하고 또 다시 희생시키고 있다.

10.19여순사건이 일부 정치인들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특별법 제정 이후 전남 동부권 피해 지역을 중심으로 정치인들이 정치적 이해득실을 숨기고 여순을 다시 한번 희생시키고 있다.

여순사건의 결정체는 결국 ‘화해와 상생’ 그리고 평화와 인권이다. 이를 통해 지역의 미래를 위한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여순사건은 이념적 갈등이 빚어낸 참혹한 비극의 역사로 무고한 희생자들이 73년을 숨죽이고 살아왔다.

여순반란이라는 멍에를 뒤집어쓰고 국가 권력에 맞서 감히 여순사건이라는 명칭과 여순항쟁이라는 주장을 내뱉기조차 힘든 엄혹한 시기를 지나 이제는 세상의 빛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목숨을 걸고 대항한 이들도 있고 좌·우 박쥐 같은 세상을 살아왔던 이들도 있을 것이다.

이념적 진영을 떠나 모두 국가 권력의 희생자들이다. 하지만 비극의 역사를 만들어내고 이를 이용했던 자들이 누군지는 진상 규명을 통해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 그 진실을 통해서만이 화해가 성립된다.

최근 여순사건을 두고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일부 정치권의 모습은 이들에게 여순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궁극적 물음표가 던져진다. 먼저 평화공원 조성을 보자. 여수시와 순천시, 광양시가 제각각 평화공원을 조성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더욱이 여수시는 평화공원를 유치해야 한다며 정기명 시장과 일부 시의원이 나서 외치고 있다.

평화공원이 마치 국가 공모사업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타 지자체와 경쟁에서 가져오는 사업쯤으로 생각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낮은 역사 인식과 여순사건이 향후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전혀 고민하지 않는 흔적이다.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 지역의 아픈 역사인 여순사건을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 하게 만든다.

평화공원은 말 그대로 화해와 상생, 그리고 평화의 미래를 그리는 여순사건의 중요한 사업 중에 하나다. 피해 지역민들끼리 경쟁하고 갈등을 일으키면서 서로에게 상처를 주면서 조성될 공원이 아니다. 또한 국회의원들의 비슷한 법률안을 놓고 제각각 발의에 나서는 모양 또한 볼썽사납다.

관련 지역 국회의원들이 머리를 맛대로 협의하고 화합해 부족하고 필요한 법률안 개정을 해야 하지만 제각각 발의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벌써 희생자와 피해자를 위한 배, 보상 문제, 국가기념일 등 여순사건과 관련된 정제되지 않은 일부 정치인의 주장이 쏟아지고 있다. 이런 문제는 진상 규명 작업이 끝나야만 이뤄질 것이다. 사실 규명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뤄질 수 없는 현안들이다.

이런 주장은 “내가 여순사건을 위해 이렇게 열심히 하고 있다”라는 생색내기용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에 피해 지역 시민사회진영 또한 기득권유지로 분열되고 갈등의 골이 깊어져 제각각 활동에 나서고 있는 것 또한 가슴 아픈 현실이다.

▲제주 43.사건 당시 행방불명된  희생자들의 표석.(사진=김종호 기자)
▲제주 43.사건 당시 행방불명된  희생자들의 표석.(사진=김종호 기자)

양조훈 전 제주 4.3평화재단 이사장의 말은 의미가 깊다 양 전 이사장은 “저희는 진상 보고서를 확정하면서 진상 보고서를 통해 국가 권력이 잘못했다는 것을 규정했고, 따라서 정부 측에 정부의 사과, 두 번째는 국가기념일 제정, 세 번째는 진상 보고서를 교육자료로 활용하는 것, 네 번째는 평화공원 조성, 다섯 번째는 생계비 지원, 여섯 번째는 유해 발굴, 일곱 번째는 추가 진상조사와 기념사업 등을 건의했다”라고 말한다.

제주 4.3과 10.19 여순은 쌍둥이 사건이지만 시대적 흐름 속에 사업 진행 속도와 방향은 다를 수 있지만, 제주가 걸어왔던 길을 세심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현재는 여순을 정치 이해득실의 도구로 이용하지 말고 화합의 운동을 벌여야 할 때다.

피해 지역 정치권과 자치단체장은 진정한 여순사건을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를 위해 화합과 양보로 머리를 맞대야 할 때다. 그래야 여순사건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평화와 인권의 상징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김종호 기자 minje597921@naver.com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