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수필문학회 '민들레 홀씨' 제3집

엄정숙 수필가 "뒤늦은 안부"

여기저기서 꽃소식이 들려오는 삼월이다. 오동도에서는 어제부터 동백꽃 축제를 열어 바다와 섬과 동백꽃의 어우러진 모습을 보러 오라 한다. 어느 핸가 이맘때 오동도를 제목으로 쓴 시 한 편을 새삼 읽어보며 문득 동백꽃을 보러 가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른 봄날이면/ 감감무소식의 사람들이/ 관제엽서처럼 날아드는 곳/ 뱃길 말고는 이정표가 없는/ 종착역을 빠져나오면/ 스치는 사람마다 동백꽃으로 피어나는/ 섬이 있다. (졸시 '오동도' 중에서)

오동도에서 동백꽃 소식이 들려오면 우리 동네 수선집 앞 옹색하게 생긴 목련에는 조등처럼 생긴 서러운 꽃이 대낮에도 불을 밝힌다. 소풍 가는 아이들처럼 개나리 진달래 피면 산수유소식이 닿는다. 벚꽃 보려면 봄이 더 가까이 와야 한다.

오늘은 동백꽃을 보러 가기에는 틀린 것 같다. 봄을 시샘하는 겨울의 뒤끝이 곱게 물러가지 못하고 마지막 심통을 부리고 있다. 하릴없이 일요일 11시 뉴스를 본다. 아프리카 3개국을 순방 중인 대통령이 알제리를 방문하는 모습이 화면을 가득 채운다. '알제리'라는 나라 이름을 듣는 순간 나는 까맣게 잊고 있었던 사람의 이름이 떠올랐다.

무슈 페레즈! 무슬림의 부모를 따라 프랑스에 정착해 프랑스의 교육을 받은 알제리 사람이다. 사회보장제도가 잘 되어있는 프랑스의 생활이 아무리 편안해도 은퇴하면 고향 알제리로 돌아가 여생을 보내고 싶다고 했다.

여천공업단지에 호남화력발전소를 건설하던 해였다. 프랑스의 알스톰사에서 터빈발전기의 제작과 설치를 위해 많은 프랑스인이 와 있었다.

나는 기본적인 영어 실력 몇 마디를 가지고 그 회사에 취직했다. 모자란 능력을 채우기 위해 밤늦게까지 혼자 남아 텔레타이프로 국제전송문을 보내는 기술부터 익혔다. 그리고 프랑스어를 공부하고 영문 타이핑을 손가락 끝에 불이 나도록 연습했다. 내 속의 가능성을 실험해 보던 당찬 시절이었다. 그러나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얻어지는 능력엔 한계가 있었다. 그때 서투른 나의 업무를 도와주던 사람이 무슈 페레즈다. 그는 내가 모르는 것에 대해 몇 번을 물어도 친절하게 가르쳐 주었다. 무슬림의 아들답게 모든 일에 철저했지만, 의심도 많았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부딪치는 이방인들을 경계했다. 사람에 대한 것은 애써 내게 물어서 판단하는 것 같았다. 나는 그가 믿는 유일한 한국인이었다.

현장소장인 듀보 씨의 지극한 배려도 지금까지 잊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내가 만난 어느 누구보다 짧은 시간에 나를 인정하고 믿어 준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세월이 흐를수록 그분들이 큰 나무나 산처럼 내 곁에 늘 살아 있는 것처럼 느끼곤 한다.

현장 일이 끝나고 한국을 떠나면서 그들은 "아듀!"하면서 손만 흔들고 가지 않았다. 프랑스 대사관 상무관실에 새 직장을 마련해 주고도 섭섭했던지 '라퐁텐 우화집'을 내게 안겨 주었다. 나는 몇 차례 거처를 옮기면서 그 책들을 잃어버린 것을 몇 년 전 책 정리를 하면서 알아차렸다. 너무 아쉽고 허전했지만 똑같은 전집을 구할 수가 없었다. 할 수 없이 예전 것과는 사뭇

다른 '라퐁텐 우화집'을 새로 주문해서 머리맡에 두고 조금씩 읽고 있다.

아침마다 자신의 승용차와 운전기사를 보내 내 출근길을 편하게 해준 일도 내게는 그 당시의 큰 호사였다. 회사의 출퇴근 버스가 있는데도 한사코 그런 배려를 아끼지 않은 사람을 나는 그 후로 만나 본 적이 없다. 내 인생의 한 가운데 밝은 색조를 마음껏 칠해 주고 떠난 그분들의 따뜻한 마음과 고집스러운 나를 신뢰해주던 고마운 정이 새삼 눈시울을 뜨겁게 한다. 다시 만나기 어려운 인연인데도 끝까지 친절을 베푼 사람들, 나는 프랑스의 지명만 읽어도 몇 번 다녀온 곳처럼 그립고 가슴이 저려온다.

이렇게 늦게 그들의 안부를 물어도 되는지 모르겠다. 듀보 씨는 그때도 연세가 많았으니까 돌아가셨을 것 같다. 그러나 무슈 페레즈는 어쩌면 그가 소원했던 대로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보내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대통령이 알제리를 방문한 기사를 보았을 테고, 보았다면 틀림없이 여수반도에서 만난 당돌한 아가씨를 기억할 것이다.

내 젊은 날의 갈피마다 많은 기쁨과 슬픔이 묻어 있겠지만, 그 가운데서 첫 번째 들춰보고 싶은 갈피는 내가 낯선 이방인들과 건설 현장에서 알아듣는 말보다 못 알아듣는 말이 더 많은 소통으로도 대접을 받던 때인 것 같다.

'오동도'의 뒷부분을 읽으며 꽃샘바람 덕분에 건진 소중한 추억 한 편을 붙잡고 그리움을 달래본다. 그리고 생사도 모르는 무슈 듀보, 무슈 몽타뇽, 그리고 무슈 페레즈에게 내 사색과 짧은 글 한 편으로 안부를 대신한다.

먼 길 돌아와/더 이상 탕진할 것도 없는 나는/동박새 놀다간 동백나무 가지 끝에/탁본한 생을 조등으로 걸어놓고/매기지 못하는 선소리 한 마당/동박새 울음으로 풀어놓는다 ('오동도' 중에서)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