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수 서시장.
대형마트 의무휴일제의 도입과 정부의 막대한 예산 투입에도 지난 5년간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매출액은 갈수록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새누리당 김한표(경남 거제)의원이 중소기업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08년 22조 3000억 원이던 전통시장 매출액은 2013년 19조 9000억 원으로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대형마트 매출액은 31조 9000억 원에서 45조 1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매출액 규모가 2배 이상 차이 나는 셈이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간 평균 매출을 따지면 격차가 더 벌어져, 2012년 대형마트 1곳당 매출은 전통시장의 5.0배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몰락에는 기업형 슈퍼마켓(SSM)과 백화점도 가세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2008년 14조 원으로 전통시장보다 매출액이 뒤졌지만, 2013년 29조 8000억 원을 기록한 백화점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백화점이 저가상품 판매를 확대하거나, 대형마트 같은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기에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여수박람회장에 아웃렛이 들어설 경우 지역 유통업계의 또 다른 블랙홀이 될 가능성이 크다.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잇단 진출로 위축된 지역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 등이 이를 방증한다.

그동안 정부가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에 투입한 예산은 2조 원에 이른다. 2002년 이후 여수지역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사업 등에 지원된 금액만도 국비 포함 400억원에 육박한다.

그러나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등 예산을 쏟아 붓는 것으로는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격차를 줄이는 데 소용이 없다는 것이 입증됐다. 이는 아무리 전통시장의 체질을 개선한다고 하더라도 대형마트를 따라잡기는 역부족이라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실제 정부의 ‘전통시장 육성사업 성과평가’에서 전통시장의 시설현대화 사업이 매출 증대로 이어졌다는 보고는 10%에 미치지 못했다. 매출 증대의 원인은 주로 ‘전통시장이 아닌 곳의 가격이 올랐기 때문’으로 조사됐다.

이는 환경개선을 통해 전통시장을 살리는데 한계가 있다는 방증이다. 아무리 시설을 개선해도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능가할 수 없는 분야다. 오히려 환경개선 이후 전통시장의 특성과 다양성이 훼손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통업계의 절대 강자를 놔둔 채 전통시장을 살리는 데만 진력하는 식의 대형마트 눈치 보기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 전통시장을 지원하는 것보다 대형마트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함으로써 전통시장을 살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는 의무휴일제와 영업시간 제한이 거의 전부이다.

유럽의 전통시장은 해당 지역에서 생산한 최고의 상품을 볼 수 있으며, 주민의 삶과도 밀접한 연관을 이루고 있다. 프랑스는 도시 외곽에만 대형마트의 입점을 허용하는 등 대형마트에 대한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다.

대형마트들은 의무휴업일 앞뒤로 상품을 대폭 할인하는 등 편법을 동원하는 것이 다반사다. 월 2회에 불과한 의무휴일을 확대하고, 품목에 제한을 두거나 전통시장 살리기 정책 대상에서 빠져있는 백화점과 농협하나로마트에도 대형마트, SSM과 동등한 규제를 적용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을 외면하는 까닭은 몇 가지로 모아진다. 주차장 부족, 상품 다양성의 부족, 떨어지는 품질, 상인들의 불친절 등이다. 이는 오래 전부터 제기된 전통시장의 고질적인 문제다. 그동안 수많은 용역 결과와 분석, 경험치 등을 통해 입증됐다.

그렇다면 전통시장도 이제는 명확한 목표 설정과 마케팅의 혁신이 필수다. 틈새시장 공략, 특화상품의 개발, 온라인쇼핑몰 개척, 품질관리의 혁신 등이 따라야 한다.

또한 각 전통시장을 특성화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 개발과 젊은층을 끌어들일 수 있는 다양한 업종 모색도 필요하다.

그러자면 전통시장 지원 방향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전통시장이 생사의 갈림길에서 지자체와 상인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