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사회와 함께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
정규직 노조, 비정규직 노동자 처우 개선에 신경써야
‘최저 입찰제’ 개선은 회사와 노동자...서로를 위한 것

▲김은수 지회장 "조합은 협력업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위한 노력과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최저 입찰제'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회사에 입찰 금액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사진=오지선 기자)
▲김은수 지회장 "조합은 협력업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위한 노력과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최저 입찰제'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회사에 입찰 금액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사진=오지선 기자)

노동현장에 숨어있는 기류중 하나는 대기업 정규직 노동조합과 사내하청 등 비정규직 노동조합간의 보이지 않는 무거움이다. 대기업 정규직 노동조합인 김은수(58) 여천NCC지회장을 만났다. 김 지회장은 정규직 노동자와 사내하청과 협력사의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한 노력, 지역 사회와 함께 하기 위한 고민들 등 노동조합 정체성에 대한 노력을 강조했다.

여천NCC로 새롭게 출발했는데 노동조합은 어떤 입장이었는지.

"합병 얘기가 1999년 4월에 발표됐고 당시에는 합병 반대를 했다. 대림과 한화의 근로 조건이 다른 부분 때문에 합병 반대 투쟁을 했었다. 김대중 정권 시절에 기업들의 부채 비율을 200% 이하로 낮추라는 정부 방침에 의해 합병이 이루어졌다. 합병 당시 반대를 외쳤지만 결국 합병이 이루어졌고 구조조정이 됐다."

합병 당시 양측 노동조합 간 갈등은 없었는지.

"합병 당시에는 조합 간에 갈등은 없었다. 회사가 합병을 통해 여천NCC 회사를 설립한다고 하니 이참에 노동조합을 합치자는 의견이 나왔다. 또 다섯 개 회사를 합쳐서 하나의 노동조합으로 하자고 했는데 결국 하나의 노동조합으로 하지 못하고 기업별로 하나씩 노동조합이 생겼다. 하지만 합병되고 노동조합 설립에 대해 먼저 선점하겠다는 목적으로 인해 여천NCC로 출발하고 노동조합이 정리되는데 3-4개월 정도 소요됐다."

현재 노동조합에 조합원 가입 분포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

"여천NCC는 연봉제와 호봉제로 나눠져 있다. 연봉제는 일반 사무직군으로 편성돼 있고 호봉제는 전문 기능직군으로 분류된다. 연봉제 사원들은 조합이 없으며 호봉제 사원만 조합 가입이 가능하다. 호봉제 사원은 입사와 동시에 조합원으로 가입된다. 그리고 대리 진급시 본인의 의사에 따라 조합 가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1100여 명 중 조합 가입자는 679명이다."

여천NCC 사업장별 생산 제품이 어떻게 되는지.

"여천NCC 1.2.3 사업장 주 생산품은 에틸렌, 프로필렌이 주 생산품이고 1공장은 엠티비이, 스티렌 모노머 등을 추가로 생산하고 있다."

노동조합과 회사 간에 임단협 시기와 진행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임금은 1년 단체협약은 2년으로 돼 있고 협약 기간 만료 30일 전에 갱신을 신청하게 돼 있다. 지난해는 단협이 12월 18일에 임금과 동시에 체결됐고 올해는 5월 23일 교섭 요청 예정이다."

노동조합이 협력 업체를 위해 회사에 개선을 요청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여천NCC에는 하청업체가 없다. 주로 생산하는 제품이 가스와 액체 상태이기에 거의 시스템화 되어 있어 타 기업에 비해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 대신 입찰을 통해 공사를 하는 협력업체가 있다. 조합이 회사에 최저 입찰제를 하지 말라고 요구한다. 입찰을 하는 업체들은 ‘할 수 있다’라는 기준으로 입찰에 참여하는데 최저 입찰제는 서로가 피해를 보는 제도다. 그래서 적정선을 정해서 가장 근접한 업체를 선정해야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 여천NCC도 최저 입찰제를 진행하고 있지만 무조건 최저 금액을 뽑지는 않는다. 그리고 단가를 높여줘야 한다고 계속적으로 얘기하고 있다."

▲김 지회장은 "지난해 설비 결함으로 사고가 발생했고 인명 피해가 있었다"며 "사고이후 노사가 설비교체부터 인력충원까지 많은 노력을 했고 지금은 적응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사진=오지선 기자)
▲김 지회장은 "지난해 설비 결함으로 사고가 발생했고 인명 피해가 있었다"며 "사고이후 노사가 설비교체부터 인력충원까지 많은 노력을 했고 지금은 적응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사진=오지선 기자)

2022년 2월 발생한 폭발 사고로 8명의 인명 피해가 있었는데, 안전 및 작업환경이 개선되었는지.

"지난해 2월 11일에 사고가 발생했고 오늘이 벌써 448일째를 맞고 있다. 사고 이후 안전한 일터 만들기 위해 노사가 공동위원회를 만들어 약 4개월간 운영을 했다. 당시 사고는 설비 결함으로 판정이 나서 관련 설비에 대해 전부 교체 작업을 했고 회사 전체적인 안전보건 시스템도 전면 개선 작업을 함께 진행했다.조합 차원에서 회사에 요구한 건 설비 결함도 원인이긴 하지만 그만큼 인력 부족도 원인의 한 부분이다. 그래서 인력 충원에 집중했고 58명을 추가 고용하기로 했다. 노사가 개선할 부분도 있지만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사고 원인이 시설 노후가 크지만 여수산단 특별법을 제정해 산단 안전은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 또 최소한 화상 전문병원은 갖춰져 있어야지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런 부분들은 산단 기업들이 출자을 한다고 해서 가능한것도 아니고 정부가 나서줘야 한다."고 정부 역할을 주장했다.

지난해 11월, 2006년 이후 16년 만에 총파업을 강행했는데.

"여천NCC 설립되고 2001년도에 저희가 38일 파업을 했고 집행부 파업부터 시작해서 그다음에 2006년에 18일 파업하고 지난해 11월 총파업 11일 진행했다. 집행부는 7일부터 파업에 들어갔고 전체 조합원은 8일부터 시작해 18일에 잠정 합의했다.  지난해 파업에서 가장 큰 이슈는 성과급 제도 복원이다. 그 이유는 2004년까지 성과급 제도가 있었다. 회사가 성과급 제도로 인해 더 많은 성과금을 주고 싶어도 많이 못 주겠다고 폐지를 요청했고 2004년도에 폐지 시켰다. 성과급 폐지 이후 회사는 계속 흑자가 났지만 달라진 게 없었다.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 부분에 대한 불신이 누적됐고 결국 지난해 총파업을 하게 됐다. 그리고 단협으로 요구한 부분들을 회사가 수용하고 앞으로는 약속을 잘 지키겠다는 의사를 표명하면서 총파업이 마무리됐다."

여천NCC 노동조합이 여수 지역 사회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향이 있다면.

"조합 차원에서 지역 사회와 함께 할 수 있는 부분은 사회공헌 활동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 이런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조합원과 비조합원들 다 공장마다 봉사활동 단체가 있다. 개인들이 회비를 내고 회사가 보조를 해준다. 그런 것들은 회사나 자본가 입장에서 베푸는 거고 노동조합이 할 부분은 아니라고 본다. 다만  교통안전 캠페인이나 지역 내 재난 사고로 인해 많은 사람을 동원해야 하는 부분들 이런 것들도 조합에서 지역 사회와 함께 할 수 있는 것들이다. 현재는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지만 조합원들과 협의해서 지역 사회와 함께 할 수 있는 부분들을 계속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김 지회장은 "도로에서 집회하는 노동자들은 지역 사회의 가장들이다"며 "교통 체증으로 조금은 불편하겠지만 이해해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사진=오지선 기자)
▲김 지회장은 "도로에서 집회하는 노동자들은 지역 사회의 가장들이다"며 "교통 체증으로 조금은 불편하겠지만 이해해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사진=오지선 기자)

1999년 합병이후 다시 분할설이 나오고 있는데.

"분할설은 합병되고 나서부터 계속 나왔던 얘기고 작년 연말에 기사가 한 번 나왔다. 저희들이 확인했고 그룹 차원에서 논의되는 것은 확실하다. 주주가 주주총회에서 분할계획서를 작성해 주총을 통과시키면 법적으로 조합이 안 된다고 파업하는 건 불법이다. 현재는 논의만 되고 그대로 끝날 수도 있다. 조합은 회사가 분할된다고 했을 때 세 가지 유형으로 보고 있다. 여천NCC 상호를 아예 없애고 딱 갈라설 건지 아니면 어느 한쪽이 여천NCC 상호를 쓸 수도 있다. 그럴 경우 실제 떨어져 나온 쪽이 대림인지 한화일지 모르지만 그 쪽만 분할돼서 나가게 된다. 분할되면 단협, 고용, 계속 근로 연수 인정 등 이런 부분들은 당연히 승계된다."

"또 하나는 갈라서지 않고 돈이 필요한 쪽에서 지분을 다른 데로 넘길 테니 그건 용인해달라 이렇게 할 수도 있다. 조합에서는 논의로만 끝나지 않을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와 노동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저는 지역사회에 계신 분들한테 이런 말씀을 드리고 싶다. 집회하면 맨날 교통 불편을 주는 것처럼 인식하실 수 있다. 하지만 집회 참석하는 분들이 지역 사회에서 가장들이다. 결국은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 개선을 위해 함께 하는 부분을 교통 체증으로만 여기지 않았으면 한다. 조금 불편하시더라도 이해해 주셨으면 좋겠다. 앞으로 민주노총 노동조합들이 지역 사회를 위해 좀 더 가까이 다가가도록 노력하겠다. 그리고 비정규직 노동자보다 정규직 노동자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최소한 자기 회사 내에 사내하청이든 협력사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어느 노동조합에 소속돼 있든 관계없이 그분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좀 더 신경을 써주셨으면 좋겠다."

김  수 기자 newstop23@dbltv.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