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동사무소·중부보건소 신축, 문수 청사 시가 매입해 활용 등도

▲ 문수동 일대 전경. (사진=심선오 사진기자)

문수 청사 이전에 따른 여문 지역 주민‧상인들의 반발이 충분히 이해된다는 반응이 나오는 만큼 여수시가 별관 신축의 당위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주민들이 불이익을 당한다는 박탈감과 섭섭함을 갖지 않도록 대안 마련 등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문수동과 여서동의 인구는 지난 4월 기준 각각 2만499명, 1만993명으로 합해서 4만 명이 넘는다. 한때 여수를 대표하는 상업지역이었다. 원도심 공동화 현상은 쇠퇴하는 대다수 지방 도시들이 겪고 있는 문제이긴 하지만 전체 인구는 주는데도 도시는 외곽으로 여전히 팽창하는 계획성 없는 도시계획이 여문 지역을 침체케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62억 원을 들여 조성한 여문문화의 거리는 애물단지에 가까운 취급을 받고 있고 시나 민간단체 등이 상권 살리기에 나서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그러다 보니 막대한 행정·재정적 지원 덕에 활기를 되찾은 종화·중앙·한려·고소동 등의 원도심에 비해 여문 지역 주민·상인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도 여문 지역이 살아날 희망은 사라지지 않았다. 여문 지역에는 초‧중‧고‧대학 8개가 있고 신규 아파트 건립으로 인구 유입이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다 지난해 8월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선정된 문수주택단지에는 838억 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돼 320세대 규모의 공동주택과 각종 편의 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에 현실적이고 실현할 수 있는 해결 로드맵을 마련해 지역사회가 중지(衆智)를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먼저, 문수 청사 자리에 공공기관 유치가 거론된다. 여권이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122개 수도권 공공기관의 2차 지방 이전을 내년 총선에 공약화할 계획이 알려지면서 전국 지자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송재호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최근 <한겨레>와 가진 대담에서 “공공기관을 ‘지방 대도시’로 보내 구도심을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 경우 2차 공공기관 이전 혜택을 기대할 수 있는 전남도 내 지역은 여수와 순천 등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인구와 경제 규모 면에서 상대적으로 앞서기 때문이다. 아직은 실현 가능성을 확실하게 담보할 수 없지만, 관심을 놓지 않아야 할 부분이다.
 

▲ 여서동 일대 전경. (사진=심선오 사진기자)

문수동사무소 신축도 거론된다. 1999년 지어진 문수동사무소는 면적이 744㎡로 공간이 좁고 주차장이 턱없이 부족해 공무원들은 물론 동사무소와 자치센터를 이용하는 주민들의 불만이 높다. 특히 계단이 많아 장애인이나 전동차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동사무소 신축 또는 주민자치센터 이전을 요구하는 민원이 매년 이어지고 있지만, 재건축 연한인 30년이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김경수 문수동 주민자치위원장도 문수동사무소 신축과 주민자치센터 이전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일각에서는 해수청 건물을 매입해 문수 청사와 중부보건소 등을 입주시켜 명실상부한 제2청사(여서 청사)를 만들자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해수청이 나간다 해도 대체 용지 요구에 따른 비용 부담 가능성과 청사 분리 체제가 계속돼 통합청사의 취지나 행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무엇보다 수산 기능 업무 확대 등에 따라 해수청도 사무실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다. 실제로 복도를 막아 소회의실로 사용하는 실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여수시는 현재 문수동 여문테니스장 부지에 중부보건소를 지을 계획으로 보건복지부 공모 사업에 지원했다. 1층 보건소, 2층 건강지원센터, 3층 아이돌봄센터, 4층 주민자치센터 등을 입주시킨다는 구상이다. 보건복지부 공모 결과에 따라 시가 교육청에서 무상임대해 쓰고 있는 문수 청사를 매입해 문수동사무소와 중부보건소, 아이돌봄센터 등을 짓는 방안도 있다. 시는 매입비로 40억 원 정도를 추산하고 있다.

별관 신축계획이 예정대로 추진되면 내년에 설계를 마치고 2021년 공사에 들어가 2022년에 공사가 마무리될 계획이다. 입주는 2023년에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공기관 유치 등 여문 지역의 활기를 되찾을 수 있는 3년이라는 시간을 버는 셈이다. 그리고 통합청사 논란에 따른 소모적인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혜를 모으는 시간도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